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항공제조업 이중구조, 상생협약 통해 해소

2024-07-10

남경민 기자(south)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대기업에 비해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무 여건 탓에 영세한 항공제조업체들은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경남도, 원청과 협력사가 손을 맞잡았습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
국내 항공제조산업
생산액의 약 75%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경남.

사천을 중심으로
KAI를 비롯한
다양한 항공우주분야
업체들이 모여있고
지난 5월엔 우주항공청까지
문을 열었습니다.

우주시대의 중심으로
경남지역 역할이
기대되고 있지만
산업 현장의 사정은
조금 다릅니다.

원청과 협력사 사이
양극화를 일컫는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각하기 때문입니다.

원청인 대기업과 달리
중소 협력사는
비교적 낮은 임금과
열악한 복지 환경에 놓여 있다 보니
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따르는 겁니다.

이런 이유로 지난 2월
고용노동부와 경남도,
원청과 협력사 등이 함께
항공우주제조업 상생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지자체와 기업이 힘을 합치고
중앙정부가 지원해
이중구조를 해소한단 계획.

[인터뷰]
이정식, 고용노동부장관
대기업과 협력사가 상생과 연대의 토대 위에서 공동의 이익을 위해 함께하고 이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의 협력이 어우러질 때 노동 약자의 보호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란 과제는 비로소 지속가능한 모습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10일
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한
원청과 협력사 대표 등이
한자리에 모여
상생협약을 맺었습니다.

항공제조업 협력사의
인력 확보와
정주여건·복지 개선을 위해섭니다.

[CG]
이번 협약으로
고용노동부와 경남도가
각종 장려금과 인센티브 지급,
부대·편의시설 개선 등을 통해
인력 유치·육성을 지원하면
원청에서는 교육훈련과 기술 지원,
손실비용 감면에 나서기로
약속했습니다. ///

경남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3년간 1,800명의 협력사 인력이
확보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인터뷰]
박완수, 경남도지사
경남의 산업구조가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협력구조로 돼있기 때문에 경남에선 대기업, 중소기업 간 상생협약, 동반성장이 굉장히 주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시장구조 개선을 위해
손을 맞잡은
중앙·지방정부와
항공제조업체들.

이번 협약이
만성적인 업계
인력난을 해소하고
항공우주산업 발전의
발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SCS 남경민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