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산청군 '위험목' 제거 본격..사유림 벌목 관건

2025-05-22

강철웅 기자(bears@scs.co.kr)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앵커멘트】


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남은 탄 나무들. 겉은 멀쩡해 보여도 속은 이미 타버려 언제 쓰러질지 모르는 '위험목'으로 남아 2차 피해가 우려되는데요. 산청군이 장마철 전에 제거에 나섰지만, 사유림 등 현실적인 제약도 적지 않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 기자 】
산청군 시천면 한 야산.
까맣게 탄 나무들 사이로
톱질 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산불로 뿌리가 약해졌거나
줄기가 손상돼 쓰러질 수 있는
‘위험목’들을 제거하는
벌목 작업이 한창입니다.

[현장음]
하나! 둘! (나무 넘어가는 소리)

집중호우 때 위험목들이
주택과 시설물을 덮치거나
산사태로 이어질 위험도
적지 않은 만큼
산청군이 우기를 앞두고
위험목 긴급 벌채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박주익/산청군 산림조합 지도원
"지금 여기서 주택까지 거리가 15m 안쪽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강풍이나 태풍이 불면 이 나무가 넘어지면서 주택을 덮쳐 인명 피해나 재산 피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저희가 긴급하게 벌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산불 피해 면적만
160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산청군.
현재까지 파악된 위험목만
수천 그루에 이를 것으로
산림 당국은 보고 있습니다.

산청군은 우기전까지
산불 피해지역 29만여 제곱미터와
800여 그루의 위험목을 제거할 계획.

공공 산지는 위험목 제거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지만,
문제는 ‘사유림’입니다.

위험성이 명확하더라도
소유주의 동의 없이는
벌채가 어렵습니다.

[인터뷰]
이주환/산청군 산림녹지과 주무관
"산불 피해목이라 하더라도 개인 사유 재산이기 때문에 동의를 필수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여기 사시는 분도 계시지만 타지에 계신 분도 많아서 연락하고 (동의를 받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복구 작업이 늦어질수록
산림 생태계 회복이 더뎌지고
고사목을 매개체로 하는
재선충병 등 2차 피해도
우려되는 만큼
소유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SCS 강철웅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