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투자유치하려면 대송산단 도로 보수 먼저" 산단 두고 공방

2025-06-18

김상엽 기자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장기 표류와 소송전으로 번지고 있는 하동지구 산단 조성 사업. 투자유치과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군의회는 정상화 방안에 대한 대대적인 대책 요구를 주문했습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 기자 】
갈사만조선산업단지와
대송산업단지,
두우레저단지로 구성된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하동지구.

장기 표류에
각종 소송전까지,
산단 조성은
하동 주민의 오랜 숙원사업으로
남아있습니다.

하동군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산단 조성에 관한 질의가 쏟아졌습니다.

우선 표류 중인 갈사산단과
관련해 어업피해 보상금이
지급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한 질의가 있었습니다.

하동 주민뿐만 아니라
인근 사천과 남해,
여수 광양 어민에도
피해가 가는 만큼
빠른 집행이 선행돼도
문제가 없지 않냐는 것.

군은 아직 소송이
진행 중인 사항으로,
판결기일도 잡히지 않았다며
모르쇠로 일관했습니다.

[인터뷰]
김혜수, 하동군의원
"(갈사산단) 해면부 어업 피해 보상금 대상 건수는 3,079건, 추정액 366억 5천만 원. 이건 사실상 저희가 먼저 갚아주고 나중에 기업한테 받으면 되는 거 아닙니까"

임미숙, 하동군 투자유치과장
"하동·광양·여수·사천·남해 어민까지 다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소송) 결과는 지금 언제 나온다고 아직 판결기일이나 이런 건 잡히지 않았습니다."

아직 준공 전인
대송산단과 관련해
도로 등 기반시설의
하자 보수에 대한
지적도 있었습니다.

관리가 엉망인 상황에서
기업이 현장을 살펴볼 경우
투자 의지가 있겠냐는 겁니다.

[인터뷰]
강희순, 하동군의원
"(의회에서) 현장 점검 갔을 때 그 땅이 도로 기반 시설이 지진이 난 것처럼 뒤틀려 있었습니다. 투자를 해 주라고 투자자들이 우리 하동에 방문했을 때 현장 방문했을 때 투자를 하려고 왔다가도 안 하고 돌아갈 것 같았어요."

대송산단 근로자 지원을 위한
근로자미니복합타운의
위치 선정에 대한 질의에

군은 주변 인프라 때문에
하동읍에 짓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인터뷰]
임미숙, 하동군 투자유치과장
"현재 대송산단 주변에는 사실 생활 인프라가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대로 그런 위치 선정할 때 많은 고민을 했었습니다."

이밖에 소송 관련 질의와
임대동 운영비 납부 문제,
투자협약 기업
본계약 지연 문제 등
산단 관련 질의가 이어졌습니다.

SCS 김상엽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