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이상기후에 늦어지는 벚꽃..하동군, 축제 준비 고심
경첩이 지났지만 정작 봄을 알리는 개화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상기후로 인해 꽃들의 개화가 늦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자체들은
봄꽃축제를 앞두고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깬다는 경칩.
그러나 봄을 알리는
개화 소식은 들리지 않습니다.
이맘때쯤
꽃망울이 터져야 할 벚꽃은
가지만 앙상한 모습입니다
[CG]
민간 기상 조사기관에 따르면
올해의 서부경남지역의
벚꽃 개화 시기는
남해 3월 23일
진주와 사천 25일
하동 3월 26일입니다. //
하지만
전문가는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7년 만에 닥친 한파와
2월까지 이어진 추위로
1주일가량
늦어질 거란 전망입니다.
[인터뷰]
추갑철/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과 석좌교수
"매실하고 산수유가 2월 한 그 20일 정도 되면
이렇게 꽃이 개화를 했는데 올해 같은 경우는 한 보름 정도 그런 친구들은 늦는 것 같고, 벚나무 이런 벚꽃은 제가 볼 때는 한 일주일 정도 늦지 않았나 싶은데 그 원인은 추위가 지속적으로 오래됐다는 거고." //
당장
28일 화개장터 벚꽃축제를 개최하는
하동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예측불가능한 시기에
날짜를 바꾸는 것조차
여의치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 지난해에도
개화 시기가
빨라질 거란 전망에
기존보다 6일 앞당겨
축제를 개최했지만
꽃을 틔우지 못해
벚꽃 없는 벚꽃 축제로
진행됐습니다.
하동군은 올해는
꽃 개화 여부와 상관없이
축제를 진행하되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축제 콘텐츠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강도남 /하동군 농산유통과 계장
"아직까지 날씨가 추워서 개화 시기를 맞출 수 있을지 좀 걱정이 되고 있는 상황이긴 한데 저희가 다양한 체험거리 즐길거리를 준비하고 있으니까 많이 방문을 해 주시고요.저희 특히 올해 축제장은 산뜻한 모습으로 새롭게 구성을 좀 하고 있습니다." //
한편 서부경남의
다른 꽃 축제들도
일정조정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습니다.
사천의
선진리성 벚꽃축제는
3월29일 부터 30일까지
개최하기로 했으나
개화시기에 따라
축제 일정이
변동 될 수 있음을 알렸고
남해의
꽃피는 남해 축제는
숙고 끝에
개화와 상관 없이
3월 28일과 29일
일정대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SU]
이상기후로 인해
개화 시기가 매번 예상을 벗어나
꽃 없는 꽃 축제들이
곳곳에서 이어지는 만큼
지자체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scs강철웅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