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사천에 학대 피해 아동 지원 기관 개소
가정폭력 같은 학대받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지원하는 기관이 사천으로 이전해 문을 열었습니다. 서부경남 6개 시군을 관할하며 피해 아동에 대한 심리치료와 재발방지 업무를 맡게 됩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경남서부아동보호전문기관이
사천에서 문을 열었습니다.
사남면 근로자종합복지관 바로
옆 부집니다.
그동안 진주에서
사무실을 빌려 사용하다
이번에 청사를 짓고
옮기게 됐습니다.
2층 규모 건물에는
상담실과 심리검사실
치료실 등이 마련돼 있습니다.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아동복지법에 따라
지자체에 설치되고 있습니다.
(CG작게)
이번에 개소한 전문기관은
도가 관리하고 민간 위탁으로 운영됩니다.
관할지역은
사천을 거점으로
서부경남 일대입니다.
///
▶ 인터뷰: 전종대 / 서부아동보호전문기관 관장
사천시를 비롯해서 7개 지역의 아동 학대 (예방)업무를 담당을 하고 있는데요. 저희 7개 지역의 아동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고 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새청사는
학대 받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보다 나은 환경에서 지원하도록
꾸며졌습니다.
▶ 인터뷰: 김영선 / 경남도 복지여성국장
피해 아동들을 보호하는 그런 일들을 좀 더 보람되게 잘 해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고 또 거기에 따라서 앞으로 예방사업도 많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
경남 전체 아동학대 건수는
줄고 있지만
서부경남은 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설치는 학대 예방에
도움이 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김제홍 / 사천시 부시장
해마다 학대받는 아동이 10% 증가하고 있습니다. 서부경남에. 그래서 이런 기관이 사천에 오게 되었고 / 사천시에서 최대한 행·재정적 지원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이와 함께 사천에는
'학대피해 아동쉼터' 설치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가해자와 분리해 피해 아동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장소로
올 하반기에 문을 열 예정입니다.
scs강진성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