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저수온 피해 줄이려면.."온도 수시로 확인하세요"

2025-02-06

김상엽 기자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가장 뜨거웠던 지난해 여름, 바다는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가 이어졌었습니다. 그리고 겨울이 오자 한파로 저수온의 위기가 찾아왔는데요. 경남도와 수산과학 등 관계 기관은 저수온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어업인들의 빠른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 기자 】
남해군 삼동면에 위치한
둔촌 갯벌체험장.

입춘 한파가
몰아치면서
갯벌 곳곳은
새하얀 얼음이
자리 잡았습니다.

지난여름,
가장 뜨거웠던 바다는

겨울 한파를 만나
저수온을 걱정하게
됐습니다.

사천만과 강진만,
하동 등 해역에는
저수온 예비특보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

사천 비토 기준
이미 6도 이하에,

남해 강진의 경우
표층 온도가
3.7도까지
떨어지는 등

지속적인
기온 강하에 따라
저수온 주의보로
격상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 북서쪽 찬
대륙고기압의 남하로
한파가 지속될 경우
급격한 수온 하강도
예상되는 상황.

어류 면역력 저하로
폐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어업인들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전화인터뷰]
이시우,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재해대응팀 연구사
"경남 하동부터 통영 수우도 서단까지, 사천만과 강진만에 발표된 저수온 예비특보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업인들은 주변 수온과 양식장 내 사육 수온을 수시로 확인하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또, 어류에는
면역력 강화제 투여,
질병 발생 여부 점검과

사료 급여량을
조절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입니다.

경남도 수산안전기술원은
저수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전담인력 19명의
예찰반을 구성했습니다.

사천 비토와 하동 대치,
남해 감암과 월곡 해역 등
도내 저수온 중점관리해역
13개 지점을 대상으로
주 2회 이상 예찰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 어업인들에게는
실시간 해황 정보를 확인하고

피해 발생 시
즉각 지자체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SCS 김상엽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