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농기계 수리공이 만든 농약 분무기, 이목 '집중'
(남) 소형 농기계는 대부분이 외국산입니다. 자동 농약 분무기 역시 마찬가지인데, 그나마도 가격이 비싸고 성능도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 진주의 한 농기계 수리공이 8년에 걸쳐 새로운 형태의 농약 분무기를 만들었는데 국내외 농기계 시장의 관심이 높습니다. 김현우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논두렁 옆에 설치된 높다란 기계.
레일을 따라 천천히 움직이더니
이내 하얀 액체를 분사하기 시작합니다.
농약 자동 분무기인데
움직임이 일반적인 것들과 조금 다릅니다.
(분할) 일반적인 농약 분무기는
노즐 움직임이 없는 고정형인데 반해
이 농약 분무기는 노즐이 아래 위로
세차게 흔들리며 농약을 분사합니다.
또 높이가 4.5m에 달해
나무 꼭대기에 있는 가지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진주의 한 소형 농기계 수리공이 만든
전국에 단 하나뿐인 농약 분무기입니다.
▶ 인터뷰 : 정용환 / 00산업 대표(제품 개발자)
- "(농민 한 분이) 약 치는 기계를 만들어 달라고 하시더라고요. 처음에는 제가 화를 냈습니다. 지금 좋은 기계가 얼마나 많은데."
▶ 인터뷰 : 정용한 / 00산업 대표(제품 개발자)
- "그런데 막상 현장에 가서 보니까 '아, 문제가 있구나...' 외국에서 대부분의 (소형) 농기계를 가져오거든요."
▶ 인터뷰 : 정용한 / 00산업 대표(제품 개발자)
- "가져와서, 사실 수리하는 입장에서 자존심도 조금 있고 그리고 농민이 부탁을 하니까 해봐야 되겠다..."
이전의 농약 분무기는
노즐이 고정돼 있다 보니
잎사귀 아래쪽에
농약을 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꼼꼼히 약을 뿌리기 위해선
결국 사람이 직접 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게
흔들식 농약 분무기입니다.
(CG) 실제 농촌진흥청에서
정 씨가 만든 농약 분무기의
성능을 시험해 봤는데 노동력은 80%,
작업시간은 50% 이상 감축된 반면,
약제 부착력은
기존 30%에서 98%까지 상승했습니다.
또 기존 분무기의 경우
40만㎡의 농지에 약을 치려면
2명의 인력이 1시간 동안 일을 해야 하는데
1명, 30분으로 줄었습니다.
▶ 인터뷰 : 문성근 / 농약 분무기 사용농민
- "뒷면에 많이 묻고 앞면에 많이 묻고 미립자가 되니까 당연히 약도 좀 적게 들고 약 효과는 좋고 그렇습니다. 사람이 직접 가서"
▶ 인터뷰 : 문성근 / 농약 분무기 사용농민
- "약을 치는 게 아니라 기계만 치고 오기 때문에 사람한테 약이 묻는 횟수나 약을 덮어쓰는 횟수가 적기 때문에 사람한테도 좋습니다."
해당 농기계가 만들어지는데
걸린 시간은 8년여.
다만 그 과정은
그리 순탄치 않았습니다.
머릿속으로 구상을 해도
지역에 시제품을 만들 곳이 없어
전국 곳곳을 돌아 다녀야했고
비용 부담도 상당했습니다.
본체 부식과 연료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였습니다.
[S/U]
"정용한 씨의 발명품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게 아닙니다. 이처럼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습니다."
어렵게 농약 분무기를 만들자
뒤따른 건 업계의 인정이었습니다.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만 10개를 넘겼고
무엇보다 소형 농기계 최강국인
일본에서도 특허가 통과됐습니다.
이미 일본의 한 농기계 업체에서
특허 이전을 목적으로
접촉을 시도하고 있을 정돕니다.
정씨는 현재 농약 살포기
성능 검사에 집중하는 한편
레일 없이 사용 가능한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정용한 / 00산업 대표(제품 개발자)
- "지금 레일 형태의 농법은 네덜란드에서 가져왔거든요. 제가 (농업기술)원장님한테 우리 기계를 네덜란드에"
▶ 인터뷰 : 정용한 / 00산업 대표(제품 개발자)
- "수출하고 싶다... 그렇게 말씀 드린 적이 있어요. 농법은 수입하지만 기계는 수출 못할 법은 없잖아요."
세계 시장에서 좀처럼 힘을 쓰지 못했던
국산 소형 농기계 제품.
정씨는 한국의 기술력이
세계 농기계 강국들에게
인정받길 바라고 있습니다.
SCS 김현우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하동군, 농산물 택배비 지원 신청 20일 마감
- 하동군이 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마감을 앞두고 농가 참여를 당부했습니다.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은소규모 농가의 유통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2022년에 도입됐습니다.택배비는 건당 2500원이 정액 지원되며, 농가당 연간 최대 200건, 총 5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특히 올해는타지역뿐 아니라 하동지역 택배 발송이 포함돼로컬 거래 농가도 혜택을 받게 됐습...
- 2025.06.18
- 경상국립대 권진회 총장,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열어
- 경상국립대학교가 권진회 총장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간의 주요 성과와 향후 비전을 밝혔습니다.권 총장은등록금 수입 감소와글로컬대학사업 경고 등각종 위기에도의미있는 성과를 이뤄냈다며,향후 라이즈사업과글로컬대학사업을양 날개로 삼아세계 100위 대학을 향해비상하겠다는 목표를밝혔습니다.권 총장은 또국가거점국립대학의책무를 강조하면서도지역과의 상...
- 2025.06.18
- (R) 하동군의회 행감.."부적절한 예산 편성 관행 고쳐야"
- 하동군의회에서도 행정사무감사 일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의회에서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집행률 저조 이유와 부적절한 예산 편성에 대해 집행부에 질타를 쏟아냈습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군의회에서진행되고 있는2025년도행정사무감사.지역 현안에 대한다양한 질의가이어지고 있는데,우선 지방소멸대응기금의사용, 집행과 관련해집행률이 굉장히 낮다는지적...
- 2025.06.12
- (R) 직매립 금지 머지 않았는데..소각장 사업 '제자리 걸음'
- 진주-사천 광역소각장 설립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진주시가 단독소각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내동면 쓰레기 매립장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지만 반대에 부딪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곳곳에 현수막을 걸어놓고소각장 건립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는 주민. 진주시가 11일 소각장 설립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
- 2025.06.12
- (R) "산불 피해 복구 아직인데"..장마·태풍 소식에 '긴장'
- 이번 장마와 태풍 소식이 어느 때보다 우려스러운 지역이 있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산청과 하동인데요. 산사태를 비롯한 2차 피해 발생을 막기 위한 작업이 한창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온 여름 장마.평년보다 일주일가량일찍 찾아온 이번 장마는제주를 시작으로 경남을 비롯한 전국에 비를 내릴 것으로전망됩니다.여기에 12일 새벽...
-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