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R) 이주의 핫이슈 - 2월 첫째 주
이주의 핫이슈 시간입니다. 긴 연휴가 지나고 다시금 지역별 행사들이 기지개를 켜고 있는데요. 새 학기를 한 달여 앞두고 학교별로 졸업식이 열리기도 합니다. 2월 첫째 주 서부경남 주요 일정 살펴봅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 기자 】
먼저 오는 수요일,
경남도청에서는
올해 첫
경상남도 시장·군수
정책 회의가
일정에 올라와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현재까지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도정 운영방향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
지역별로는
오는 금요일,
사천 용남고와
곤양고등학교의
졸업식이
각 학교에서 진행되고
[CG]
일요일에는
사천읍민 윷놀이대회와
사천 시민극단
'이웃'의 창단식이
각각 열릴 예정입니다.
//
[CG]
남해에서는
화요일,
저상용 안전 청소차량의
시승식이
또 금요일엔
쌀전업농의
연시총회가
일정에 올라와 있습니다.
/
같은 날,
경남도립
남해대학에서는
학위수여식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
하동에서는
오는 목요일,
문화예술회관에서
하동학생뮤지컬단의
창작 뮤지컬 공연이
펼쳐집니다.
[CG]
또 목요일과 금요일엔
각각 진교고등학교와
고전초등학교의
졸업식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
[CG]
다음은 산청소식입니다.
화요일에는
산청군장애인체육회
설립위원회가
목요일에는
행복문화센터 건립사업의
용역 착수 보고회가
각각 군청에서
진행된다고 합니다.
//
[CG]
함양에서는 금요일,
함양군 청년정책네트워크의
2기 발대식이
일정에 올라와 있고,
/
목요일, 군청에서는
내년도 국도비 확보를 위한
사업 발굴 보고회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
마지막으로
진주 소식입니다.
오는 12일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국립진주박물관에서는
소원 쓰기 등
정월대보름 맞이 행사가
열릴 예정인데요.
오는 8일에는
각종 문화유산으로 만든
사진 카드를 골라보는
문화유산 복 점치기
행사가 열린다고 합니다.
[CG]
이밖에도
오는 수요일에는
진주시파크골프협회의
이취임식이,
또 목요일에는
진주시어린이집연합회의
이취임식이
각각 예정돼 있습니다.
이주의 핫이슈
김상엽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