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산청 산불 진화 막바지..날씨가 관건

2025-03-25

강철웅 기자(bears@scs.co.kr)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산불 발생 닷새째, 진화율이 빠르게 오르고는 있지만 고지대에 남은 불과 함께 강한 바람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산불은 지리산 국립공권 까지 번지며 여전히 긴장의 연속입니다. 강철웅기잡니다.

【 기자 】
산불 발생 닷새째,
산청과 하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대형 산불이 점차 진화되고 있습니다.

산청군 시천면에서 시작된 불은
50km 이상 떨어진
하동 옥종면까지 번졌지만,
현재는 산 능선을 따라
희미한 연기만 남은 상태입니다.

오후 3시 기준
산불 진화율은
90%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도 산불 진화 작업이
계속 되고 있는데
주불을 잡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까지
불이 번지기도 했는데
잔여 산불 대부분이
고지대에 위치한 만큼
접근성이 떨어지다 보니
인력 투입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원희/산림청 산림자원 과장
워낙 산세도 험하고 낙엽층도 깊어서 산불 진화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헬기를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있지만, 결국 산불은 사람이 올라가서 끄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렵고요. 특히나 사람이 이동하기 위해선 임도와 같은 길이 필요한데 (잔여 산불) 지역에서는 임도가 없어서 더욱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오후 3시 기준
산불 영향 구역은
1천 5백여 헥타르로
55km의 화선 중
꺼야 할 불의 길이는
5.5km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산림청은 인력 1천 9백여 명과
헬기 32대가 투입과 함께
진화제 살포로
확산을 최대한 막겠다는 방침이지만

오후부터 시작된
초속 7에서 15m 정도의 강풍이
진화의 변수입니다.

[인터뷰]
이원희/산림청 산림자원 과장
바람이 강하게 불면 산불 확산 속도가 몇십 배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 (산불 진압에)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고... 헬기 기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대 풍속이 15m/s가 되면 헬기 투입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한편 주민 대피와 피해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후 3시 기준,
산청과 하동 지역 주민 1천 2백여 명이
대피소에 머물고 있으며,
주택과 사찰 등 60여 곳의 건물이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산불이 장기화되며
진화 인력의 피로가
누적되고 있는 만큼

산림당국은 신속한 진화를 위한
총력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SCS 강철웅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