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또렷이 기억하고 새겨야"
남해군과 이순신 장군의 인연은 깊죠. 임진왜란 당시 장군은 남해 단항마을에서 전열을 가다듬기도 하고, 노량 앞바다에선 7년에 걸친 전쟁을 끝낸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는데요. 남해군이 이런 이순신 장군의 호국정신을 지켜가기 위한 다채로운 행사를 기획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
이순신 장군 생애
최후의 전투로 알려진
노량해전.
당시 한반도에서 철수하던
왜군을 추격해 전투는
조선 수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안타깝게도 이순신 장군은
이 전투에서 전사합니다.
충무공의 마지막 승전지이자
성웅 탄생지인 남해군.
군은 이런 이순신 장군의
호국정신을 되새기기 위해
기억 주간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 김금란 / 남해군 문화관광해설사
남해 하면 이순신과 굉장한 깊은 인연이 있습니다. 올해 이순신을 기리고 기억하는 사업으로 이렇게 여러분에게 안내를 하고 있으니 많이 와서 성웅 이순신에 대한 생각도 깊어지고...
//
무겁게 느껴지는
호국이라는 주제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해
희망의 이미지로 재창조 하겠단 계획.
▶인터뷰 : 서지선 / 남해군 문화체육과 문화유산팀 주무관
기존에 무겁고 어두웠던 호국이라는 주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일상 속에서 호국정신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가족들과 호국정신의 뜻을 되새겨보는 뜻깊은...
//
어린이부터 장년층까지
모두가 생활속에서 장군의
정신을 오롯이 새길 수 있도록
기억 공간운영은 물론 전시행사도
펼쳐지고 있습니다.
호국 정신이 고스란히 담긴
이순신 장군 어록
캘리그라피는 물론
장군이 먹었던 밥상의
모습을 담은 여러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것.
특히 충무공의 생애를 지도로
담아낸 일러스트는
그가 걸어온 험난했던 격랑의 발자취를
직접 느낄수 있도록 구성돼
보는이에게 경외감 마저 들게 합니다.
전시공간 한켠엔
임진왜란 당시 수군이 의사소통
방법으로 활용했던 다양한 신호연들도
자리잡고 있는데
장군에 대한 주민 각자의 느낌과
여러 의견들이 담겼습니다.
누군가의 아들이자 남편, 그리고
아버지였던 인간 이순신을
각자의 방식으로 추모하고 있는 것.
이순신 장군 3부작 영화를
연출한 김한민 감독을 초청한
토크 콘서트에선
주민들이 직접
감독에게 궁금한 점을 물어보는
소통의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호국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취지로
열리고 있는 이순신 장군 기억 주간 행사는
여러 공연들이 펼쳐질 호국콘서트와
충렬사에서 진행될
추모 제례 봉행식 거행으로
이어질 예정입니다.
SCS 김동엽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 R) "내년부터 경남패스로 교통비 부담 던다"
- 경남패스라고 들어보셨나요 경남도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인데요. 도에서 도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덜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내년 1월부터 ‘경남패스’라는 정책을 야심차게 시행한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올해 5월부터 시행한 K-패스 사업에 경남도민을 대상으로 혜택을 더했다고 하는데요. 경남도 교통정책과 남쌍현 파트장으로부터 직접 사업에 대한 설명을 ...
- 2024.12.25
- (R) "지역축제 난립..내실 꾀해야"
- (남) 지역경제 보탬뿐 아니라 주민들을 위한 문화 혜택 제공 측면에서도 축제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죠. 최근엔 지역축제들이 워낙 경쟁적으로 난립되다보니 이에 대한 개선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데요. (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체질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CG 1 i...
- 2025.01.09
- (R) 삼천포 키다리 아저씨, 올해도 통큰 기부
- '삼천포 키다리 아저씨'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어려운 이웃을 위해 언제나 도움의 손을 내미는 유진수산 강유복 대표에게 붙여진 별명인데요. 누구보다 가난했던 유년 시절, 어른이 되면 어려운 사람을 돕겠다는 결심에서 시작한 기부활동을 40년 넘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해도 통큰기부로 지역사회를 훈훈하게 한 강 대표를 강진성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사천에서...
- 2025.01.09
- (R) 진주·남해·하동, 정보공개 상위 20%
- 알 권리 보장을 위해 공공기관에서 생성한 정보를 청구할 수 있는 정보공개제도. 우리 지역에선 어떤 기관들이 투명하게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고 있을까요. 남경민 기잡니다.【 기자 】공공기관이 만들어갖고 있는 정보를국민들에게 공개하는 정보공개제도.정보공개포털을 통해누구나 기관에 정보를청구할 수 있습니다. 해마다 정보공개제도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 2025.01.09
- (R) 2025년 경남 교육, 어떻게 변하나
- 올해부터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됩니다. 늘봄학교도 대상이 확대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을 한해인데요. 2025년 경남 교육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정리했습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올해 경남교육의주요 정책 키워드로역량과 시민,공공성과 지역을꼽았습니다.특히 민주시민교육과 함께지역을 살리는 교육에집중한다는 방침.우선 지난해인구소멸...
-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