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한국국제대, 진주시 매입.."현실적으로 어려워"
한국국제대학교가 폐교한 지 어느덧 1년 6개월이 넘었지만 여전히 매각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지역 사회에서는 지자체와 기관 차원의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진주시는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굳게 닫힌 정문과
녹슨 건물들.
캠퍼스에는
적막감만 감돕니다.
지난 2023년 8월
재정난으로 폐교한
한국국제대학교의 모습입니다.
부채 청산을 위해 10차례나
자산 매각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유찰됐습니다.
최근 일부 자산이 매각됐지만,
본 캠퍼스 부지와 건물은
여전히 매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사이 200억 원에 달하는
임금 체불로 고통받는
전직 교직원들의
한숨만 깊어갑니다.
▶ 전화인터뷰 : 한국국제대 전 교직원, (음성변조)
끝까지 남아 있었던 분들은 월급을 한 5년씩 못 받았으니까, 생활이 어려웠을 겁니다. 지금도 매각이 돼가지고 체불 임금이 다 지불됐으면 참 좋았을 건데... 금융권에 빚도 많을 거고...
도심 접근성이 떨어지고
용도 변경도 필요한 데다,
밀린 공과금 등으로
매입 비용만 300억 원에 달해
매각 전망이 밝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자
지역사회에서는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17일 열린 진주시의회에서도
이같은 주장이 이어졌습니다.
▶ 싱크 : 최민국 / 진주시의원 (도시환경위원회)
- (교직원들은) 수년간의 임금 체납으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일부는 신용불량자로 내몰렸습니다. 진주시는 한국국제대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나 적극적 대응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진주시는
예산 부담을 이유로
매입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경남도, 교육부와
활용 방안에 대한 협의는
이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전화인터뷰 : 진주시 관계자 (음성변조)
- 진주시에서 국제대를 인수하거나 리모델링 하기에는 세금 부담이 너무 많기 때문에 지자체로서는 부담이 너무 큽니다. 향후 교육부나 도청이랑...
한편 이날 5분 발언에서는
생활폐기물 소각장
설치를 예시로 시정 추진 시
주민과의 소통 창구를
확대해야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소각장 설치를 위해
시민 공론장을 개최한
의정부시가 참고 사례로
제시됐습니다.
SCS 김연준 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