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보호소 "더는 못받아요"..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는 유명무실
정부가 유기동물을 줄이고 무분별한 유기를 막기 위해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를 시행한지 3년쨉 접어 들어섭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호시설들이 이미 포화상태인 상황에서 제도가 실효성을 가질 수 있냐는 의문이 나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 기자 】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전국에서 버려지거나 유기된
동물은 11만 마리에 이릅니다.
경남에서도 매년 1만 1천여 마리의
유기동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하루에 3백여 마리 꼴로
동물들이 유기되고 있는 겁니다.
[SU]
이곳은 진주에 한 유기견 보호센터입니다.
이곳에는 버려지거나
키우기를 포기한 유기동물이 가득합니다.//
150마리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지만
250마리 이상이 들어오면서
수용할 수 있는 마릿수를
초과한 지 오래입니다.
[인터뷰] 20:22:41;17
황창수/진주시 농축산과 동물복지 팀장
- 저희가 매년 유기동물이 증가함에 따라 저희가 보호할 수 있는 두수보다 50% 이상 많이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저희가 시설 개선이라든지 입양홍보를(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무분별한 동물 유기를 막고
유기동물 입양률을 높이기 위해
지자체의 동물보호센터가
유기동물을 직접 인수하는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를 3년 전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호시설이 포화상태다 보니
제도의 실제 활용은 낮습니다.
[CG]
실제 지난해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로
자치단체가 인수한 동물은
1,300여 마리에 불과합니다.
경남도에서는
10마리를 넘지 않습니다. //
유기동물 입양률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2022년 32%를 기록 후
23%에 머물러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보호시설이 과부화된 상황에서
제도의 효과가
미비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인터뷰]
정서연 / 동물보호단체 리본 대표
-관련된 시설이나 시스템을 갖추고 난 다음에
이 제도를 시행해야 되는데 지금 현재 각 시·도마다 보호소는 이미 포화 상태입니다. 어폐가 단단히 있는 사항이고요. 유기동물들을 더 보호할 수 있는 시설과 시스템을 갖추고 난 다음에 시행을 하는 게 맞지 않나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
유명무실해진 동물인수제
실효성을 갖추기 위해선
시설확충과 함께
입양률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원책들부터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scs강철웅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