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헬기 추락사고에 운항 중지.."사고 기종 제외 재투입"

2025-03-26

김상엽 기자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산청·하동 산불을 비롯한 대형 산불이 전국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습니다. 26일 오후, 의성·안동 산불 진화 현장에서 헬기 한 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벌어졌는데요. 급하게 헬기 운항을 중지했다가 산림당국이 다시 투입을 결정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 기자 】
수 미터 앞을
보기 힘들 정도로
희뿌연 연기,

시야가 확보되지 않자
안전을 위해
도로를 따라 이동합니다.

26일 아침,
의성·안동 산불
진화를 위해
출동한 한 헬기의
비행 영상입니다.
/

대형 산불 진화에는
헬기를 이용한
공중 진화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형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대량의 물을 한번에
살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화 인터뷰]
김유식, 전 한국국제대 소방방재학과 교수/DS소방연구소 대표
"화재 진압을 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도 다량의 물로 진압할 수 있는 것 중 제일 효과적인 부분은 헬기를 동원하는 부분인데요. 집중적으로 투하를 해서 화재 진압을 하면..."

하지만
육안으로 운전하는
헬기 특성상
시야가 확보돼야 하는데,

산불에 따른
짙은 연무로
나무 혹은 송전탑과
충돌할 우려가 있어
현장 진입에 매우
어려움이 많은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26일 오후 12시 50분쯤,
경북 의성군 신평면에서
산불진화 중이던
진화헬기 한 대가
추락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헬기 조종사 A씨는
현장에서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직 추락 원인 등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산림당국은 사고 직후인
오후 1시 30분쯤,
전국의 산불 진화 헬기에
운항 중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하지만, 산청·하동 산불 등
아직 대형 산불이
진화 중인 상황은 감안해
산림당국은
사고발생 2시간여 만에
산불진화헬기 투입을
재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오후 3시 30분부터
순차적으로
다시 투입이 시작됐습니다.

다만, 추락 헬기인
스콜스키S-76 기종과
동일한 기종의 헬기를
제외한다는 방침.

오후 4시 기준,
산청·하동 산불에는
산림청 소속 헬기 6대를 포함해
지자체와 군부대 등
총 12개의 헬기가
투입되고 있습니다.

강풍이 덜했던
오후 시간에
헬기 투입이 중지되며
진화작업에도
정체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상황.

[인터뷰]
문현식, 경상국립대 환경산림과학부 교수
"불이 확산되는 걸 인력으로는, 지상작전만으로는 산불 확산 속도를 지연시킬 수 가 없는... 그래서 빨리 공중 작전이 병행이 돼서..."

또 헬기 특성상
강풍에 취약하다는 점과
야간 투입이
불가능 하다는 점도
아쉬운 부분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군 헬기는 야간에도
운용이 가능하다며,
산림청 등 진화헬기에 대해서도
행정적으로
또 시스템적인 개편을 통해
야간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SCS 김상엽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