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일손 부족 농촌, 정착 기반 만든다..농업 기숙사 운영 확대
농촌의 인력난 해결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들이 늘고 있지만, 정착을 위한 주거 지원은 여전히 부족합니다. 하동군은 농업 근로자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며 주거 지원에 나섰습니다. 강철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문을 열자 보이는
부엌과 세탁기
그리고 방안에는
냉장고와 함께 2층 침대가 보입니다.
20일 개소 예정인 하동군 옥종면에
농업 근로자들을 위한 기숙사입니다.
새롭게 마련된 기숙사는
총 58명이 입주할 수 있으며
공용 주방과 세탁실 등의 편의 시설을 갖춘
건물 두 개의 동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지난해 4월 함양에서 만들어진
계절근로자 기숙사처럼
외국인 근로자들이
숙박할 수 있는 시설이
하동에서도 만들어 진겁니다.
입주를 앞둔 한 외국인 근로자는
기숙사 생활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인터뷰] (16:51:15;07-16:51:25;00)
땅빤하 / 옥종면 딸기 농가 근로자 (필리핀)
"깨끗하고 편하게 지낼 수 있을 것 같아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이번 농업근로자 기숙사는
기존 계절근로자 기숙사보다
대상과 기간이 확대됐습니다.
계절근로자 기숙사는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이 진행되는 8개월
동안만 지낼 수 있었지만
농업근로자 기숙사는 여기에 더해
농축산업에 종사는 누구나면
외국인뿐만 아니라 내국인도
최대 1년간 입주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16:55:23;17+16:56:00;08)
정준석 / 하동군 농축산과 농업혁신담당
"지난해 10월에 입주자 모집을 완료해서 기숙사동에 들어갈 48명의 입주자는 모집이 완료됐고... 외국인 근로자의 숙소를 안정적으로 쾌적한 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노동 인력을 확보하고..."
한편, 산청군에서도
안정적인 농촌 인력 공급을 위해
내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30명이 입주할 수 있는
농업 근로자 기숙사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농업 근로자들의 주거 안정이
곧 농촌의 지속 가능성과 연결되는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인 정책 지원과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SCS 강철웅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