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완연한 봄기운..지역별 봄 축제는 (C)
따뜻한 봄바람과 함께 경남 곳곳에서 다채로운 봄 축제가 펼쳐집니다. 벚꽃부터 철쭉, 꽃잔디까지 자연이 선사하는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다양한 행사도 함께 열릴 예정인데요. 지역별 주요 축제 소식,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기자 】
먼저, 하동에서는
봄철 별미 미나리를
즐길 수 있는
청학미나리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지리산에서 흘러내리는
맑고 깨끗한 물로 재배된
향긋한 미나리를
삼겹살과 함께
구워 먹을 수 있는
청학미나리판매행사,
오는 23일까지 계속됩니다.
본격적인
벚꽃 철이 시작되는
3월 말부터는
서부경남 곳곳에서
벚꽃 축제가 이어집니다.
다만, 올해 개화 시기에 따라
일부 축제에서는
벚꽃이 만개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하동 화개장터 벚꽃축제는
오는 28일부터 3일간 열립니다.
올해는 특별히 벚꽃 아래에서
웨딩 촬영을 할 수 있는
이벤트도 준비됐습니다.
진주에서는
공군교육사령부가 3월 29일
하루 동안 부대를 개방합니다.
아름다운 벚꽃과 함께
블랙이글스의 에어쇼도
펼쳐질 예정입니다.
사천 선진리성에서는
29일 토요일부터 이틀간
벚꽃이 성곽과 어우러지는
장관을 배경으로
제6회 선진리성 벚꽃축제가
진행됩니다.
[CG]
남해에서는
28일부터 이틀간
남해대교에서 펼쳐지는
드론쇼와 문화공연이
방문객들을 맞이합니다.
29일부터는
창선에서 고사리축제가 열립니다.
고사리밭길을 걸으며
자연을 체험하고,
밤에는 불꽃놀이도
즐길 수 있습니다.
4월 5일부터 이틀간은
함양 백운산에서도
벚꽃축제가 펼쳐진다고 합니다.
/
산청에서는 벚꽃 대신
형형색색의 꽃잔디가
장관을 선사할 예정.
생초국제조각공원에서
열리는 꽃잔디축제는
조각공원 전체를
다채로운 색상으로
물들일 전망입니다.
완연한 봄기운과 함께
방문객들을 맞이할
준비에 들어간
지역 곳곳에서 열리는
다채로운 봄 축체.
봄꽃과 함께
자연이 선사하는
아름다운 풍경을
즐겨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SCS 김상엽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