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R-1) 활용 어려워 방치되는 폐교.."작은 학교 살려야"
(남) 학령인구 감소로 지역의 폐교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남의 경우 그 수만 586곳으로 전국 세번째에 달하는데요.
(여) 규제와 지리적 여건 등으로 남겨진 부지를 활용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이에 폐교 위험이 큰 학교를 최대한 살려야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 1999년 인근 학교와
통폐합되며 문을 닫은
사천의 한 폐교.
50여년간 졸업생
2천 2백여명을 배출했던
마을의 중심지는 현재
흉물로 변했습니다.
[S/U]
이 곳에는 한때 사천예술촌이
들어서기도 했었는데요.
이마저도 건물 노후화로 인한
안전 문제로 도교육청이
재계약을 진행하지 않으면서
지금은 이렇게 출입문이
굳게 잠겨있습니다.//
사람의 인적이 드문 다른
폐교는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교정에는 해산물 껍데기가
버려져있고, 마을 주민 소유로
보이는 퇴비가 방치돼 있습니다.
구석에 남아있는 동상에는
세월의 흔적이 뭍어
스산한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CG]
경남의 폐교는 지난해 기준
586곳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많습니다.//
아이들이 떠난 마을에는
활기가 사라지고,
남겨진 부지는 범죄
위험에 노출됩니다.
▶ 인터뷰 : 구본금 / 사천시 사남면
- 그때는 젊은 사람들도 많았고, 지금은 다 나갔으니까... 우리 아이들도 다 이 학교 나왔는데...
도교육청에서는 대부와
매각 등의 방식으로 공간
활성화를 추진하고는
있지만, 산 넘어 산입니다.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 있다보니
안 그래도 수요가 떨어지는데,
용도도 공공목적으로
제한돼 있기 때문입니다.
▶ 전화인터뷰 : 도내 교육지원청 관계자 (음성변조)
- 섬에 있는 폐교도 많고, 산지나 외진 지역에 있는 폐교들이 많다 보니 저희가 활용 의사를 여쭙는 공문이나 홍보를 진행해도 반응이 없는 경우들이 굉장히 많이 있어서...
주민들이 폐교를 마을
재산으로 인식해
매각이나 대부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실제 산청의 경우 미활용 폐교
3곳 모두 주민들이 학교 건립 당시
지역민의 도움이 컸다는
이유 등으로 외부 매각에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G]
미활용 폐교는 경남에만
현재 60여 곳.
재산 관리 비용은
지속 누적돼 지난 2019년부터
5년간 적자 규모만 65억원이
넘습니다.//
일각에서는 작은 학교를
살려 폐교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 인터뷰 : 최승제 / 지역문제연구소장
- (폐교하는) 속도를 늦추고, (심지어) 그 학교를 폐교에서 약간 인원이 늘어나게 하는 그런 방향도 있고...작은 학교의 교사들이나 교장 선생님들이 그런 목적 혹은 의지를 가지고 이렇게 하시는 분들이 많다보니까...
저출산과 수도권 집중으로
학령인구가 빠른 속도로 줄며,
증가하는 폐교.
지역의 동력 저하와
재정 낭비 문제가
파생되는 만큼 이를 막기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