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R) 이색 판화·미디어아트 전시 열렸다..문화가 일정은
사물이 지닌 상징성을 판화로 표현하는 외국 작가가 진주를 찾았습니다. 여러 가지 한국화를 미디어아트로 풀어낸 전시도 마련됐는데요. 서부경남 문화가소식을 하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기자 】
전시장 벽과 천장
곳곳에 설치된
미술 작품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의자들이
반투명한 화면에
표현돼있습니다.
붕대에 주로 쓰이는
가제천 위에
판화를 찍어낸 건데,
작품들끼리 겹쳐지면서
묘한 입체감을 줍니다.
한 네덜란드 출신
설치 예술가의 작품으로,
플라스틱 의자가 지닌
상징성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인터뷰: 헤르만 스타인스 / 작가
"많은 사람들이 가구를 찾을 땐 의자를 먼저 고르죠. 또, 플라스틱 의자는 매우 저렴해요. 저렴하고 실용적이기에 '누구든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자는 저에게 민주적인 대상물입니다."
이밖에
방독면을 쓴 아이들이나
동물의 형상을
인조 모피에 찍어낸 작품들도
호기심을 자아냅니다.
독특한 판화들이
한자리에 모인
헤르만 스타인스의
Have a Seat.
진주 루시다 갤러리에서
오는 22일까지 이어집니다.
///
일찍이 봄을 맞이한
그림 속 매화.
화면 뒤쪽에서
밀어내 만든
꽃 모양 부조와 폭포 등
다양한 한국화 작품들이
보입니다.
작품들을 모두 감상하고 나면
조금 전에 봤던 폭포가
다시 한번 나타나는데,
이번엔 그림이 아닌
영상의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폭포를 배경으로
재두루미와 종달새가
울음소리와 함께 날아들고
만발한 꽃은
마치 불꽃놀이처럼
잎을 흩날리며 사라집니다.
작가가 자신의 작품들을
보다 연속성 있게 표현코자
미디어아트로
새롭게 구성한 겁니다.
▶인터뷰: 박영숙 / 작가
"시민들도 미술이라고 하면 조금 힘들어하기도 하고 어려워하고 그리고 좀 가까이하기 힘들어하는 부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미디어라는 것은 와서 그냥 보면 (직관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느껴지기도 하고..."
박영숙 개인전
미디어ART & 한국화의 숲은
11월 6일까지
진주문화제작소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이
85번째 정기연주회로 돌아옵니다.
'소리에 반하고
아름다움을 전하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무대.
국악관현악 '진 코스모스'와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오프닝 곡으로 유명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태평소 협주곡 '산체스의 아이들' 등
총 5개 프로그램으로 마련됩니다.
공연은
11월 13일 저녁 7시 30분,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무료로 열립니다.
문화가소식 하준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