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R) 하동학생뮤지컬단 "우리 이야기 담았어요"
하동의 젖줄로 불리는 섬진강, 이곳 섬진강을 배경으로 사춘기 '질풍노도'의 시기를 보내는 하동 학생들의 이야기를 담은 창작 뮤지컬이 선보이는데요. 열띤 학생들의 연습 현장을 영상에 담았습니다. 영상리포트 김치훈 기잡니다.
- 장소 : 하동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하동학생뮤지컬단 창작뮤지컬 "은하수 쪽배" 연습 한창
씽크
지구의 은하수 길이 여기 하동이 가장 예뻐서 여기로 왔다고요.
- 섬진강을 배경으로 사춘기 보내는 하동 학생들의 이야기
인터뷰
최형서 / 하동학생뮤지컬단 연기감독
이번에 아이들이 할 작품은 "은하수 쪽배" 라는 작품인데요. 하동으로 전학 온 하늘이라는 친구가 교우관계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런데 은하수 쪽배에 살고 있는 은하수 요정들을 만나게 되면서 교우관계가 원활해지고 하동에서의 생활에서 의미를 찾게되는...
- 하동중앙중학교 재학생 19명 뮤지컬에 참여
- 지난해 3월부터 틈틈이 갈고 닦은 실력 선봬
인터뷰
김현진 / 하동중앙중학교 3학년
뮤지컬을 하면서 내성적이었던 성격이 조금씩 밝게 변하면서 좋은 방향으로 바뀌게 되었어요.
선생님들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재미와 협동심에 뿌듯함을 정말 크게 느꼈고...
- 연기뿐 아니라 소품·메이크업 등 공연 전반 '스스로'
- 학생들이 함께 즐기고 공감할 수 있는 창작뮤지컬
인터뷰
탁휘주 / 하동중앙중학교 1학년
저희 스텝들이 다 하나씩 문서로 PPT 같은 걸로 골라서 다 산 거거든요
그래서 이게 저희 학생들이 직접 한 것이다 보니까 좀 더 의미가 깊은 것 같아요
- 하동아카데미 연계한 공모사업으로 진행
인터뷰
최하나 / 하동중앙중학교 교사
이번에 하동중앙중학교 학생들이 뮤지컬을 직접 경험하면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정말 감동적으로 성장하였고 앞으로도 하동군 아카데미 지원으로 계속 이런 종합예술 뮤지컬이 이어졌으면 좋겠습니다.
2월 6일(목) 14:00 하동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영상 : 김치훈
CG: 김현주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