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늘어나는 농어촌 외국인 근로자 "촘촘한 지원 필요"
인구감소를 겪는 농어촌지역에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는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외국인 근로자가 늘어나는 만큼 보다 촘촘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
올 상반기 경남에 배정된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모두 7,300여 명.
농어촌의 부족한 일손을
채우기 위해 마련된
계절근로자 제도는
첫 도입 이후 꾸준히
그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경남에 도입된
계절근로자는
지난 2022년 650명에서
지난해엔 6,540명으로
약 10배가량
확대되기도 했습니다.
농어촌에선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력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만큼,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전주환, 외국인 계절근로자 고용 농장주
농업 현실에서 꼭 필요하 시기에 꼭 필요한 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상당히 많습니다. 농업·농촌에 꼭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더 연구·보완하셔서 계속 확대해 주시면...
농어촌 사회에
외국인 근로자가
늘어나는 만큼
적응을 돕기 위한
시책과 지원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
전국 최초로
함양에서 문을 연
계절근로자 기숙사가
대표적입니다.
숙식 해결에
어려움이 있었던
계절근로자를 위해
비어있는 건물을 새단장해
주거시설을 조성한 겁니다.
[인터뷰]
호덕휘, 베트남 외국인 계절근로자
시설은 대체로 만족스럽고 좋습니다. 다만, 공동 주방을 이용해야 하다 보니 요리를 할 땐 조금 붐빕니다.
기숙사 조성은
현재도 이뤄지고 있는데
먼저 하동에서 기숙사가
올 상반기 준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또 올해 안에 산청에서도
기숙사 착공이
이뤄질 예정이며,
함양에선 내년 착공을 목표로
기숙사 추가 건립이
추진 중입니다.
이밖에 경남도는
19억여 원을 투입해
계절근로자 산재·건강보험료와 통역,
주거환경 개선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한국의
시스템과 정책이 낯선
외국인 근로자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보다 촘촘한 관리는
필요해 보입니다.
비자 문제와 문화 적응,
인권침해 등 애로사항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는 기구가
서부경남에도 확대돼야 한단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잔 속, 캄보디아 국적 외국인근로자
돈 벌기 위해서 한국 왔는데 사장님이 일이 더이상 없다고 해서 일자리를 잃었어요. 다시 일을 구할 때 까지 갈곳이 없더라고요.
지역 농어촌
일손 부족 문제의
열쇠가 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
근로자들이 늘어나는 만큼
그에 따른 실효성 있는 지원책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scs 남경민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