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R) 서부경남 지피지기 - 투데이서경(9월 10일)
【 기자 】
진주농민항쟁과 형평운동 등
우리 근현대사에 굵직한
발자취를 남긴 사건들이
많았던 진주.
항일학생운동도
그 가운데 하나인데요.
진주 항일학생운동을
재조명하는 움직임이
지역에서 일고 있습니다.
투데이서경
김순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순종 기자.
A. 네. 안녕하세요.
Q. 진주항일학생운동이
어떤 식으로
재조명되는 겁니까
A. 진주문화사랑모임이
경남도의 지원을 받아
진주 항일학생운동을 재조명합니다.
1920~30년대 진주에는
경남과기대 전신인 진주공립농업학교,
진주고 전신인 진주공립고등보통학교,
진주여고의 전신인
사립 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항일학생운동이 펼쳐졌는데요.
이들 운동을 기록화하는 한편,
항일학생운동을 이유로 학교에서 제적된
이들의 후손에게 명예졸업장을 주는
사업이 진행되는 겁니다.
Q. 그렇군요. 특히 이번 사업에서
김찬기 선생이
조명 받고 있다 들었습니다.
어떤 인물입니까
A. 김찬기 선생은 진주고보에 재학 중이던
1930년 1월 항일학생운동에 가담하며
구속된 동료학생 석방을 요구하는
격문 3천여 매를 붙인 이유 등으로
일제경찰에 체포돼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고 학교에서 제적됐습니다.
하지만 이후에도 경북 왜관 등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중국으로 망명해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는 등
평생을 독립운동에 투신하셨습니다.
해방 직후 귀국을 준비하다 중국에서 돌아가셨고,
현재 현충원에 안장돼 계십니다.
Q. 마지막으로
1930년대 진주에서 일어난
대표적인 항일학생운동 한번
소개해주시죠.
1920년 진주농교를 중심으로
만세시위가 기획됐지만,
일제 경찰에 사전 발각돼
200여명이 검거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1928년쯤에는 조선어 시간 연장, 조선사 수업 진행 등
민족적 성격을 띈 요구와 함께 동맹휴학이 진행됐습니다.
1930년 1월 17일에는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영향으로
진주고보, 일신여고보 학생
500여명이 참여한 시위가 일어나
당시 진주고보 학생 6명이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습니다.
1931년에는 일제의
황국신민화 교육에 반발한
백지동맹 사건,
1938년에는 11인 사건 등이
일어났습니다.
[기자]
네. 교육충절의 도시로 이름 높은 진주시.
일제강점기에도 많은 학생들이
항일학생운동을 펼쳤습니다.
이 또한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또 하나의 지역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서부경남 지피지기였습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진주, 하수처리장 마약 검출 ‘전국 3위’
- 인체에 투여된 마약은 소변과 땀으로 배출돼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갑니다. 식약처는 이를 활용해 하수처리장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매해 불법 마약류 사용 실태를 발표하는데요. 올해도 조사 결과가 공개됐는데, 경남의 필로폰 사용추정량이 전국 세 번째에 달했습니다. 마약류 전체에서는 진주의 수치가 높았는데요. 이유가 뭘까요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 2025.06.18
- (R) 하동군의회 행감.."부적절한 예산 편성 관행 고쳐야"
- 하동군의회에서도 행정사무감사 일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의회에서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집행률 저조 이유와 부적절한 예산 편성에 대해 집행부에 질타를 쏟아냈습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군의회에서진행되고 있는2025년도행정사무감사.지역 현안에 대한다양한 질의가이어지고 있는데,우선 지방소멸대응기금의사용, 집행과 관련해집행률이 굉장히 낮다는지적...
- 2025.06.12
- (R) 직매립 금지 머지 않았는데..소각장 사업 '제자리 걸음'
- 진주-사천 광역소각장 설립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진주시가 단독소각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내동면 쓰레기 매립장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지만 반대에 부딪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곳곳에 현수막을 걸어놓고소각장 건립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는 주민. 진주시가 11일 소각장 설립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
- 2025.06.12
- (R) "산불 피해 복구 아직인데"..장마·태풍 소식에 '긴장'
- 이번 장마와 태풍 소식이 어느 때보다 우려스러운 지역이 있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산청과 하동인데요. 산사태를 비롯한 2차 피해 발생을 막기 위한 작업이 한창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온 여름 장마.평년보다 일주일가량일찍 찾아온 이번 장마는제주를 시작으로 경남을 비롯한 전국에 비를 내릴 것으로전망됩니다.여기에 12일 새벽...
- 2025.06.12
- (R) "남해의 두 보물이 만났다".. 남해마늘한우축제 개막
- 한우와 마늘이 만나는 ‘맛의 향연’. 남해마늘한우축제가 막을 올렸습니다. 행사 첫날부터 전국 각지에서 몰려온 방문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는데요. 넘쳐나는 먹거리와 볼거리 그리고 즐길거리 까지. 남해의 멋과 흥을 한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축제 현장을 김동엽기자가 다녀왔습니다. 【 기자 】고소한 냄새가 가득한먹거리 부스로 연신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먹...
-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