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데스크시선> 올해 축제의 성과와 과제는
2024년 올 한 해도 서부경남 곳곳에서는 크고 작은 축제들이 열렸습니다.
지역의 화합을 이끌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축제들이 어떤 성과와 과제를 남겼는지 김성수 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사)
Q. 지난 28일에 진주시에서 축제 평가보고회가 열렸습니다.
진주남강유등축제를 비롯한 10월 축제 뿐만이 아니라 여러 행사들에 대한 평가가 있었다고 들었는데요. 어떻습니까.
A. 네, 10월 3대 축제인
진주남강유등축제와 개천예술제,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뿐만이 아니라 봄에 열렸던 진주논개제, 그리고 경남도민체전,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까지 올 한 해 열렸던 다양한 행사들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Q. 축제를 평가할 때 항상 따라오는 것이 바로 방문객 수입니다. 진주 10월 축제 공식 방문객 수는 어떻습니까.
A. 진주시는 일단 올해 118만여 명이 10월 축제장을 다녀간 것으로 집계했습니다.
일 평균 6만 9천 명, 일 최대 18만 천 명입니다.
단순히 숫자로만 본다면 지난해 126만여 명에 비해 약 8만 명이 줄어든 셈인데요.
다만 이 방문객 수만 갖고 축제의 흥행 척도를 판단하기는 조금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Q. 어떤 의미일까요.
A. 네, 사실 코로나19 이후 진주 10월 축제 방문객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2022년 125만 명, 지난해 126만 명이었고요.
참고로 10년 전인 2014년에는 방문객 수는 280만 명이었습니다.
그런데 축제 전문가들은 집계 방식이 상당히 정확해졌고, 또 이로 인해 상당수 허수들이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역사가 긴 다른 지역축제들의 경우에도
대부분 과거와 비교해서 방문객 수가 줄었고요.
이로 인해 본의 아니게 피해를 입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진주시는 대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화제성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진주시가 지난 10월 대한민국 기초자치단체 브랜드평판에서 전국 1위에 올라 많은 관심을 모았는데 이 또한 축제 기간 관람객 방문과 정보 노출 때문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Q. 10월 축제의 성과와 과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A. 우선 큰 안전사고가 없었다는 게 가장 큰 성과라고 봅니다.
또 원스톱 아웃제를 비롯한 규제 장치를 통해서 예년에 비해 바가지요금 논란도 적었습니다.
반면 안전사고는 없었지만
단시간에 워낙 많은 인파가 몰리다보니 아직도 관람이 불편하다, 특히 개막일이나 불꽃놀이가 있는 날이 그랬는데요.
진주시도 이에 대해서는 평일 개막을 비롯해
여러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다른 과제는 진주 뿐만이 아니라 모든 지역축제들이 안고 있는 건데요.
전문가들의 말대로 인구가 많은 수도권 지역은 고만고만한 축제에도 방문객이 꽤 많습니다.
가뜩이나 열악한 재정으로 투입할 수 있는 재원이 부족한 지역축제들은 벌써 내년 축제 콘텐츠들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김성수 기자와 함께 10월 축제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
많이 본 뉴스
- (R) 경남도·산청군·사천시의회..종합청렴도 1등급
- 국민권익위원회가 전국 지자체와 의회 등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종합청렴도 평가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평가부터는 전국의 모든 지방의회도 평가 대상에 포함됐는데요. 우리 지역에서는 경남도와 산청군, 사천시의회 등이 종합청렴도 1등급을 달성했습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국민권익위원회가 19일, 전국 지자체와 공기업 등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종합청렴도 평...
- 2024.12.19
- (R) '수달 서식지' 남강.."버드나무 군락 조절 필요"
- (남) 남강은 서부경남 지역민들의 젖줄인 동시에 동식물들의 생태 터전이기도 하죠. (여) 최근 남강유역의 자연환경 정밀조사 결과가 나왔는데 토종동식물 보호와 수질 관리를 위해 식생 관리가 필요하단 분석이 나왔습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남덕유산에서 발원해함양, 산청, 진주를 거쳐 흐르는 남강.낙동강 합류지점까지180...
- 2024.12.18
- (R) 2024년 달군 남해군 8대 뉴스
- 서부경남 한 해를 돌아보는 기획보도 시간. 그 마지막 순서는 남해군입니다. 올해 남해에선 다양하고 굵직한 사업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돼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습니다. 김동엽기자가 남해군 주요뉴스들을 정리했습니다. 【 기자 】이슈 1. 남해 ~ 여수 해저터널 착공 남해군과 여수시를 잇는남해 ~ 여수 해저터널이지난 달 착공에 들어갔습니다.현재 1차분 토...
- 2024.12.18
- (R) 소멸위기 극복 실마리, 관광산업에서 찾는다
- (남)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관광산업을 지목한 경남도. 대규모 관광산업이 지역에서 펼쳐지고 있는데 내년엔 더 속도감 있게 사업들이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 지난 9월엔 오는 2035년까지 관광객 수 연 8천만 명을 목표로 45조 8천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는데 당시 언급된 150여개 사업 중 상당수가 내년부터 본격적으...
- 2024.12.25
- (기획R) 20224년 달군 혁신도시 8대 뉴스
- (남) 서부경남의 한 해를 돌아보는 기획보도 시간. 경남진주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의 2024년은 어땠을까요. 남경민 기잡니다.【 기자 】이슈1. 국기연 부서 이전 검토에 지역사회 '화들짝'올해 초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일부 부서가 대전 이전을 검토하고 있단소식이 전해지며 지역사회가 술렁였습니다.진주시와 지역 국회의원은 물론상공인들과 시민단체까지 ...
- 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