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경남 15개 지역농협 적자..조합원 배당 미지급
높은 이자로 인해 1금융권이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농협은 온도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자를 갚지 못한 부실채권이 늘면서 진주와 사천을 비롯해 경남에서만 15개 농협이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지난해 지역농협의 실적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남에서만 15개 농협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요 원인은
부실채권입니다.
이자를 내지 못한
대출이 증가한 겁니다.
▶ 전화인터뷰: A농협 조합장(음성변조)
대외적으로 지역 경제도 좀 어렵고 이러니까 우리가 경영을 잘못한 것은 아닌데 연체 이런 채권이 (늘어나서...)
진주에 4곳, 사천에서 1곳이
적자를 기록해
조합원 출자금 배당을 지급하지 못했습니다.
▶ 전화인터뷰: A농협 조합원(음성변조)
평소에 해마다 명절에 조합원으로서 적게나마 배당금을 받는게 재미였는데 올해는 안나왔습니다. 그래서 좀 서운했습니다.
///
일부는 무리한 사업확장이
적자폭을 키우는데
한 몫 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 농협은
2년 전 자재센터를 이전 확장했습니다.
하지만
접근성이 좋지 않아 곧바로 사업을
접어야 했습니다.
(s/u)
수십억 원을 들여 만든 자재판매장이 1년도 안돼 문을 닫았습니다. 자금 회수를 위해 매각에 들어갔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
지난해부터 2차례 공개매각에 나섰지만
새주인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달부터 세번째 매각에 들어가지만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입찰자가 나타날 진 미지숩니다.
적자가 난 농협은
행사를 축소하고
경비를 삭감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농협 관계자는
부실채권의 경우 대부분 소액 대출이며,
악성 채권을 대비한
손실충당금을 적립하고 있다면서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금융사고 우려에 대해서는
전혀 문제 없다고 밝혔습니다.
scs강진성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R)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
- 국내 유일 박물관이죠. 국립저작권박물관이 진주에 문을 연 지도 1년이 지났는데요. 저작권의 가치를 보존하고 또 널리 알리기 위해 올해엔 보다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고 합니다. 최진영 국립저작권박물관 관장과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세요.============================================Q. 박물관 얘기 ...
- 2025.03.21
- (R) "유명무실한 폐교 매각대금 환원제..보완책 필요"
- 폐교를 매각할 경우 대금은 도교육청으로 귀속됩니다. 해당 지역의 재투자를 위해 대금 일부를 시군 교육지원청에 환원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최근 3년 간 경남에서 환원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유명무실한 제도의 문제점을 김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폐교 매각 대금 일부를 폐교 지역에 재투자 할 수 있게 하는 폐교재산 매각대금 환원 제도.시군교육지원청...
- 2025.03.20
- (R) "사천시 또아 조형물 위치 선정 잘못"
- '사천 방문의해'를 맞은 사천시가 관광객을 맞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출입구인 사천요금소 앞에 관광캐릭터를 설치했는데 잘 보이지 않는다며 예산낭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진성기잡니다.【 기자 】남해고속도로 사천요금소 입구입니다.도로 옆에는파란색 우주복을 입은사천시 관광캐릭터 '또아'조형물이 세워져 있습니다.올해 사천방문의해 ...
- 2025.03.20
- (R) 대한민국 문화도시 '진주'..향후 3년간 추진될 사업은
-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진주시가 지역 문화자산을 활용해 문화·관광사업 발전을 도모합니다. 사업의 큰 줄기는 문화사업가 양성과 성장지원, 문화관광콘텐츠 판매 채널 구축, 문화콘텐츠 교류 강화 등에 있다고 하는데요. 문화도시 진주에 새로운 바람이 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빛 담은 문화도시 진주'지난해 말 대한...
- 2025.03.20
- (R) "마을활성화요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하는 거죠"
-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여러 사업을 이어가고 있단 소식.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남해군의 한 마을이 기관의 도움없이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들을 기획해 주도적인 마을 가꾸기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과의 화합을 이룬 선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매일 아침 함께 등교하는친구집 주위로 알록달록...
-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