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R) '파란만장' 진주의 경남도청 역사를 돌아보다
(남) 경남도의 역사가 진주에서 시작됐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120여년 전 진주에 경남도청이 들어서 진주 도정시대가 열렸는데요.
(여)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의해 도청을 부산에 빼았겼고, 수차례 도청 환원운동도 벌어졌지만, 지역민들에겐 여전히 씁쓸한 추억, 아픔이자 그리움인데요. 특별기획 '경남의 시작, 진주 도청 이야기' 프로그램 주요 내용을 차지훈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기자 】
삼국시대부터 오랫동안
행정 중심지였던 진주시.
1895년 지방관제 개혁에 따라
'진주부'로 개편된 다음해,
경남도청이 진주에 들어섰습니다.
진주성 내 첫 경남도 관찰부 청사가 설치돼
최초 경남도정이 이곳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 인터뷰 : 강동욱 / 진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장
- "운주헌이란 현판을 달았습니다. 마침 경상우병영이 폐지가 되고 그 공간이 비게 되는 것입니다. 거기에 경상남도청이 들어오게"
▶ 인터뷰 : 강동욱 / 진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장
- "됩니다. 우리가 흔히 진주성 안에 영남포정사가 도청의 정문 입니다. 운주헌이란 현판은 도지사(관찰사)가 오니까, 그래서"
▶ 인터뷰 : 강동욱 / 진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장
- "현판을 '선화당'이라고 붙입니다. "
진주는 1896년부터 14년 6개월 동안
경남의 중심지, 관찰부로서 역할을 다했지만
1910년 한일 강제병합 뒤
진주도 일제 중심 도정시대에 돌입합니다.
이때 이미 일본은 경부선 개통으로
일본으로 물자 수탈이 용이한 부산으로
경남도청 이전을 추진해 왔습니다.
1924년 12월, 도청 부산 이전이 공표되자
진주시민들의 반대 분위기는 극에 달했고
일제의 시민 탄압도 있었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 인터뷰 : 배우근 / 도청환원 진주시민 운동본부 상임대표
- "진주에 있던 도청이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설이 나오니까 "절대 반대다" 진주시민들이 극렬한 반대를 했어요. 심지어 진주시민 중"
▶ 인터뷰 : 배우근 / 도청환원 진주시민 운동본부 상임대표
- "한 사람은 남강에 투신을 할 정도로 그 반대 운동이 심했다고 합니다."
이런 진주시민들의 반대에도
조선총독부는 1925년 4월 1일,
도청의 부산 이전을 강행하면서
진주도정 28년은 막을 내렸습니다.
당시 진주 민심을 달래기 용으로
학교 공립화, 진주교 설치 등이 진행됐습니다.
▶ 인터뷰 : 강동욱 / 진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장
- "1927년에 (진주교가) 개통이 되는데 1925년 도청을 옮기고 1926년에 큰 흥수가 집니다. 그러다 보니까 그 당시 백성들이"
▶ 인터뷰 : 강동욱 / 진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장
- "가장 필요한 것은 뭐겠습니까 다리인 것입니다. 그래서 그것도 역시 경남도청을 부산으로 옮기고 나서 진주 사람들에게"
▶ 인터뷰 : 강동욱 / 진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장
- "이렇게 선물이라는 식으로... "
그 뒤 1962년 부산 직할시 승격과 함께
진주시는 당연히 도청이
돌아올 것으로 믿었지만
마산과 치열한 도청 유치 경쟁을
벌여야 했습니다.
▶ 인터뷰 : 배우근 / 도청환원 진주시민 운동본부 상임대표
- "(1964년 당시) 윤양병원 원장이었던 김윤양 박사를 필두로 해가지고 도청 환원운동을 벌이기 시작하는데 당시에 진주시 각계"
▶ 인터뷰 : 배우근 / 도청환원 진주시민 운동본부 상임대표
- "대표들이 250명 정도 참여를 했고 총회를 할 때는 5천명이 모였다고 합니다."
진주의 도청 환원운동이
1964년에 이어 1977년 두 차례에 걸쳐
크게 펼쳐졌지만
경남도청은 1983년 7월, 진주도 마산도 아닌
신흥공업도시인 창원시로 이전·개청했습니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부산으로 또 창원으로 이전하며
파란만장한 변천 과정을 겪은 경남도청.
경남의 시작, 출발점이었던
진주 입장에선 절대 잊어선 안 되는, 잊지 말고
다시 살펴봐야 할 중요한 역사입니다.
▶ 인터뷰 : 강동욱 / 진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장
- "경남은 진주에서 나왔고, 그래서 진주정신이 경남정신이고 이것이 진주사람이 가진 정신입니다."
▶ 인터뷰 : 배우근 / 도청환원 진주시민 운동본부 상임대표
- "(도청) 환원운동을 벌이는 것은 결국 우리 지금 현 시대에 있는 사람들 뿐 아니고 우리 진주의 미래를 위해서 후세를 위해서..."
특별기획
'경남의 시작, 진주 도청 이야기'는
20일부터 채널 8번을 통해 방송됩니다.
SCS 차지훈입니다.
[ END ]
-
많이 본 뉴스
- 하동군, 농산물 택배비 지원 신청 20일 마감
- 하동군이 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마감을 앞두고 농가 참여를 당부했습니다.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은소규모 농가의 유통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2022년에 도입됐습니다.택배비는 건당 2500원이 정액 지원되며, 농가당 연간 최대 200건, 총 5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특히 올해는타지역뿐 아니라 하동지역 택배 발송이 포함돼로컬 거래 농가도 혜택을 받게 됐습...
- 2025.06.18
- 경상국립대 권진회 총장,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열어
- 경상국립대학교가 권진회 총장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간의 주요 성과와 향후 비전을 밝혔습니다.권 총장은등록금 수입 감소와글로컬대학사업 경고 등각종 위기에도의미있는 성과를 이뤄냈다며,향후 라이즈사업과글로컬대학사업을양 날개로 삼아세계 100위 대학을 향해비상하겠다는 목표를밝혔습니다.권 총장은 또국가거점국립대학의책무를 강조하면서도지역과의 상...
- 2025.06.18
- (R) "경남-부산 행정통합 계속 추진..거취 고민 아직"
- 출범 3주년을 맞아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기자간담회 열었습니다. 경남-부산 행정통합부터 향후 거취 문제까지 다양한 현안에 대한 입장을 듣는 자리였는데요. 남경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4년 차에 접어든민선 8기 박완수 경남도정.앞서 3년간우주항공청 개청과글로컬대학 최다 지정,무역수지 32개월 연속흑자와실업률 개선 등 의미 있는 성과들을 거뒀습니다....
- 2025.06.30
- (R) 지역 소상공인 위기 가중..지원책 마련 분주
- 어렵다, 어렵다는 말이 절로 입에 붙는 요즘 경제 상황. 특히나 서민경제의 중심, 소상공인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위기를 직면한 소상공인들을 위한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데요.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사회, 경제적으로큰 혼란을 야기했던코로나19 유행.특히 장기간 경기침체로 인해소상공인들이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2025.06.27
- (R) 도민체전, 서부 4개 군 뭉쳤다..2027 공동개최 시동
- 【앵커멘트】2027년 경남도민체전의 무대가 서부경남 4개 군으로 확정됐습니다. 산청·함양·거창·합천, 4개 군이 손을 잡고 대회를 준비하면서, 지역 간 협력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자의 보돕니다.【기자】경남 체육인들의 최대 축제경남도민체전.진주를 떠난 성화는오는 2026년엔창녕과 함안으로 이어집니다.그리고 ...
- 2025.07.04